로고

진행과제
기본 전북형 젠더거버넌스 기본 구상 및 활성화 방안
  • 부서명
  • 과제코드
  • 22GI00
  • 연구책임
  • 연구진
목차보기
닫기
주요내용
▶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
❍ 지방분권이 강조되는 시기에 지역의 상황과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요구를 반영한 행정 실천의 중요성이 증대
❍ 전북지역은 청년여성의 인구 유출률이 매우 높고, 여성 대표성 등의 지역성평등 지수가 낮은 지역으로, 전북형 젠더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해 여성정책의 실효성 제고가 요청
❍ 젠더거버넌스는 “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들이 성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제도와 정책개선에 참여하는 협력체계”로 전라북도 지역의 행정, 의회, 시민사회, 성평등 정책전문가가 조성해가는 민관협치 구조임
❍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의 정치, 경제, 사회 영역에서의 지위와 역량 향상을 통해, 의사결정에 있어서 동등한 권한을 확대하고, 미래지향적 성평등 문화 확산과 전북 성평등 수준 제고

▶연구내용
❍ 젠더거버넌스 관련 선행 연구 검토 및 유형별·시도별 젠더거버넌스 사례 분석 : 민관협치형, 시민참여형,
여성단체주도형 등
❍ 전북 젠더거버넌스 추진여건 검토 및 젠더이슈에 대한 이해, 참여자, 참여방식, 민관협력관계, 시군과의 연계 및 협력방안, 젠더거버넌스 지원조직의 존재 여부 등을 분석
❍ 전북 광역의 분과별 네트워크와 기초자치단체(여성친화도시, 14개 시군의 여성단체조직, 자발적 커뮤니티
활성 지역)와의 연결을 통한 전북형 젠더거버넌스 구축 기본 구상
❍ 전북형 젠더거버넌스 운영 주체별, 분과별, 지역단위별 활성화 방안 제안

▶연구방법


▶기대효과 및 활용방안
❍ 여성가족 현장의 이슈를 소통할 수 있는 장을 통해, 여성가족 정책과 사업의 현장성 담보 기회 제공
❍ 전북형 젠더거버넌스 수립을 통해 전북지역 성평등 정책의 확대 및 실행 활성화에 기여

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
통합검색